합창은 종교 음악 연주의 가장 일반적인 연주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랫동안 악기를 금기로 여겼던 종교 음악에서는 풍부한 음량과 비교적 다양한 음색 표현이 가능한 합창 음악이 대단히 발달하였습니다.
미사, 레퀴엠, 코랄, 오라토리오, 칸타타, 수난곡 등에서도 합창의 비중은 절대적일 뿐 아니라 온전히 합창만을 위해 작곡된 종교음악의 종류도 상당히 많습니다.
모테트
모테트는 700여 년 동안 너무도 다채롭게 변모되어 오느라 그 의미를 몇 마디로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광범위하게 일반화하자면, 모테트는 종교적인 라틴어 가사로 되어 있으면서 무반주로 불리는 다성부 합창음악이라고 정의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같은 모테트라는 이름으로 작곡되었다 하더라도 워낙 시대와 지역에 따라 많은 양식적 차이가 있기 때문에 수많은 예외가 있습니다. 악기만으로 연주되는 모테트도 있으며, 가사가 프랑스어나 독일어로 쓰였거나 가사의 내용이 종교적이지 않고 세속적인 음악에도 모테트라는 제목이 붙어있습니다.
모테트는 미사처럼 반드시 예배를 목적으로 하는 음악이 아니었기 때문에, 음악적으로 작곡가들의 창조적 역량이 충분히 발휘되는 진보적인 장르입니다. 그 때문에 여러 시대에 걸친 수많은 작곡가가 모테트라는 형식을 빌려 자신의 풍부한 음악적 상상력을 시도하였습니다.
앤섬
앤섬은 영국 성공회의 예배에서 가톨릭의 모테트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합창곡이며, 앤섬과 모테트의 차이는 음악 양식보다는 언어에 있습니다. 독창자 없이 합창으로만 연주하는 앤섬은 '완전 앤섬(full anthem)'이라고 하고, 기악 반주의 독창과 무반주 합창이 교대로 연주하는 것은 '운문 앤섬(verse anthem)'이라고 합니다. 예배 음악에 자국의 언어를 도입하고 가사를 알아듣기 쉽게 하기 위해 호모포닉한 부분을 많이 둠으로써 풍부한 음향을 낸다는 점에서 앤섬은 영국의 독특한 음악 유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앤섬은 영국 음악의 '황금시대'로 일컬어지는 엘리자베스 1세의 시대 동안 융성했으며 주요 작곡가로는 탈리스(Thomas Thallis, 1505경~1585), 버드(William Byrd, 1543~1623), 몰리(Thomas Marley, 1557~1603), 기번즈(Orlando Gibbons, 1583~1625) 등이 있습니다.
영국에서 활발히 활동한 헨델은 조지 2세의 대관식을 위해 <대관식 앤섬>을 작곡했으며, 자신의 열렬한 지지자였던 조지 2세의 왕비 캐롤라인의 죽음에 임해서 장송 앤섬 <시온의 깊은 슬픔>을 남겼습니다.
그 밖의 종교 합창
실제로는 오랜 세월 동안 너무나 많은 합창곡이 종교적인 목적과 내용으로 작곡되었기 때문에 실제 이 분야의 문헌들을 보면 모테트와 앤섬같이 구체적인 장르로 구분될 수 없는 경우가 훨씬 더 많습니다. 대부분의 합창 음악들은 기독교 예배에서 사용되는 전례문이나 성서의 특정 구절을 가사로 사용하기도 하고, 미사의 한 순서가 독립되어 발전하는 등 기독교 예배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테 데움(Te Deum), 스타바트 마테르(Stabat mater), 마니피카트(Magnificat), 아베 마리아(Ave Maria), 살베 레지나(Salve Regina), 미제레레 메이 데우스(Miserere mei Deus)가 모두 그러한 경우입니다.
테 데움은 '주님께'라는 라틴어 가사에서 유래한 찬가로서 신의 구원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바치는 찬가입니다. 테 데움 가운데는 베를리오즈, 브루크너, 코다이(Zoltan Kodaly)의 작품이 유명합니다.
스타바트 마테르는 '슬픔에 잠긴 성모'라는 뜻으로 아들 예수의 고통과 죽음 앞에서 선 마리아의 슬픔과 고뇌를 담고 있습니다. 페르골레지 외에도 드보르자크와 베르디의 작품이 자주 연주됩니다.
또한 마니피카트는 가톨릭교회의 저녁기도인 만과(Vespers) 때 불리는 음악으로 신약성서 누가복음 제1장 46~55절에 적혀있는 마리아의 찬가에 다성부 음악을 붙인 것입니다. 성령의 수태를 알게 된 마리아는 친족인 자칼리아의 아내 엘리자베트를 방문하고 "나의 혼은 주님을 우러러보고, 나의 영은 구주이신 하느님을 찬양하나이다(Magnificat anima mea Dominum)"라며 하나님을 찬미했습니다. 많은 작곡가가 이 마리아의 찬가에 곡을 붙였지만 특히 바흐의 마니피카트가 탁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2023.04.25 - [클래식 음악] - 클래식 음악 -종교 음악- 1) 기독교 미사음악
클래식 음악 -종교 음악- 1) 기독교 미사음악
클래식 음악의 긴 역사는 절대로 기독교와 떨어뜨려 이야기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기독교 역시 음악과 분리되어 존재할 수 없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한마디로 클래식 음악과 기독교는 오랜
auftakt.co.kr
2023.04.26 - [클래식 음악] - 클래식 음악 -종교 음악- 2) 기독교 극음악
클래식 음악 -종교 음악- 2) 기독교 극음악
종교 음악에도 마치 오페라처럼 종교적인 이야기를 연극적으로 전개하는 극음악 장르가 있습니다. 오라토리오(oratorio)와 칸타타(cantata), 수난곡(passion)이 그 대표적인 장르입니다. 이들은 음악적
auftakt.co.kr
'클래식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래식 음악 -춤음악- 2) 발레 음악-2 (0) | 2023.04.27 |
---|---|
클래식 음악 -춤음악- 2) 발레 음악-1 (0) | 2023.04.27 |
클래식 음악 -춤음악- 1) 모음곡 (0) | 2023.04.27 |
클래식 음악 -종교 음악- 2) 기독교 극음악 (0) | 2023.04.26 |
클래식 음악 -종교 음악- 1) 기독교 미사음악 (0) | 2023.04.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