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만주의 시대의 작곡가 슈베르트나 브람스는 베토벤 음악의 보수적 측면을 계승하여 낭만주의적 화성 어법이나 선율을 사용하면서도 고전주의 형식을 중시하고 절대 음악적 입장을 견지한 대표적인 작곡가들이며, 이에 반해 베를리오즈나 리스트는 음악에 표제적 성격을 도입하는 등 베토벤 음악의 진보적 측면을 계승한 작곡가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낭만주의 교향곡
슈베르트는 31년의 짧은 생애 동안 모두 9개의 교향곡을 작곡하였는데, 이 가운데 제8번 <미완성>과 제9번<대교향곡>이 걸작입니다.
멘델스존은 <이탈리아>, <스코틀랜드> 같이 지명을 표제로 붙이고, 음악적 풍경 묘사에 천재적 재능을 발휘하거나 <스코틀랜드> 교향곡에서 네 개의 악장을 중단 없이 연주하도록 지시하는 등 진보적인 낭만주의적 성향을 드러냅니다.
브람스는 4개의 교향곡을 작곡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기본적으로 고전적인 교향곡 형식을 따르고 있습니다. 즉 전통적인 4악장 구조로 되어 있으며, 악장과 악장 사이의 통일성을 꾀하려는 시도나 표제음악의 아이디어는 보이지 않으나 화성 어법이나 관현악 음향은 확실히 낭만주의 쪽에 서 있습니다.
브루크너의 9개 교향곡은 모두 전통적인 4악장으로 되어 있고 어떠한 표제도 없다는 점에서 고전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의 작품의 중요한 특징은 그의 교향곡들이 종교적인 색채를 갖는다는 것입니다. 미사나 테 데움과 같은 종교적 주제를 자주 사용하여 작곡하였습니다. 또 그의 교향곡은 소리의 셈여림이나 색채 상의 대조가 매우 강한 것이 특징입니다.
말러의 교향곡은 브루크너보다도 더 거대한 편성과 길고 복잡한 형식으로 유명합니다. 그의 교향곡들을 연주하기 위해서는 파격적인 대규모의 오케스트라가 필요합니다. 특히 독창자와 합창단 등 성악가들까지 합치면 당시 다른 교향곡에 비해 몇 배의 인원이 요구됩니다. 극단적인 예로 그의 교향곡 제8번을 들 수 있는데, 이 곡이 '천인 교향곡'이라고 불리는 것은 이 곡을 연주하려면 8명의 독창자, 2개의 합창단, 대편성 관현악단을 합쳐 모두 1000명이 무대 위에 서게 되기 때문입니다.
프랑스 작곡가인 베를리오즈는 보수적인 독일 낭만주의자들, 특히 브람스와 정반대의 입장에서 교향곡에 대한 낭만주의적 대안을 문학의 극적 요소에서 찾았으며, 그 결과를 표제 교향곡이라는 형태로 표현하였습니다. 그의 가장 대표적인 작품 <환상교향곡>은 하나의 주제를 마치 극적인 등장인물처럼 일정한 성격을 갖고 전 악장에 걸쳐 반복적으로 등장하게 하여 극적 흐름을 유도할 뿐 아니라, 그 주제는 전체 악장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차이코프스키는 러시아를 대표하는 교향곡 작곡가입니다. 그러나 차이코프스키의 교향곡이 러시아의 민족양식을 대변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그의 교향곡은 다분히 독일 고전주의 교향곡이나 이탈리아 오페라, 유럽 각국의 춤 음악의 특성이 반영된 국제적 성격을 갖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의 6개의 교향곡 중 제4번, 제5번, 제6번은 매혹적인 선율과 화려한 관현악법, 전통적인 화려한 피날레 대신 처절한 고통 속으로 빠져드는 듯한 피날레가 주는 비극성 때문에 많은 청중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민족주의 교향곡의 가장 대표적인 작곡가로는 체코의 드보르자크(Antonin Dvorak, 1841~1904)를 들 수 있습니다. 그는 모두 9개의 교향곡을 작곡하였는데, 가장 유명한 것은 제9번 <신세계>교향곡입니다. 그러나 체코의 스메타나(Bedrich Smetana, 1824~1884), 그리그(Edvard Grieg, 1843~1907), 무소르그스키와 림스키-코르사코프를 포함하는 러시아의 일명 '막강한 5인조'는 드보르자크처럼 민족주의 경향의 교향곡을 작곡하는 데 만족하지 않고, 독일식 교향곡의 속박에서 완전히 벗어난 교향시라는 새로운 대안을 이용하였습니다. 이외에도 19세기 말 프랑스식 민족주의 음악이라고 할 수 있는 인상주의 작곡가들 역시 교향곡을 외면하였습니다.
20세기 교향곡
20세기 초 쇤베르크에 의해 실내교향곡이 작곡된 이후 또다시 작곡가들은 교향곡을 가장 중요한 장르로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핀란드의 국민적 영웅으로 추앙받던 시벨리우스(Jean Sibelius, 1865~1957)가 그 대표적인 작곡가로, 그는 7개의 교향곡을 작곡하였습니다. 또한 댕디(Vincent d'Indy, 1851~1931)는 20세기 가장 대표적인 프랑스 교향곡 작곡가라 할 수 있습니다.
영국 출신 작곡가 본 윌리엄즈(Ralph Vaughan Williams, 1872~1958)도 20세기 교향곡 역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작곡가입니다. 이 외에도 <시편 교향곡>의 작곡가 스트라빈스키와 베베른도 20세기의 중요한 교향곡 작곡가이며, 누구보다도 소련의 작곡가 쇼스타코비치는 현대 교향곡 작곡가 중에서 꼭 기억해야 할 작곡가일 것입니다. 쇼스타코비치는 모두 15개나 되는 교향곡을 작곡하였는데, 그것은 교향곡이 소수의 특권층이 아니라 대규모 청중을 위한 음악을 선호하는 소련의 사회주의적 이념에 부합하는 양식이었기 때문입니다.
'클래식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래식 음악 -관현악곡- 5) 관현악 모음곡 (0) | 2023.05.02 |
---|---|
클래식 음악 -관현악곡- 4) 교향시 (0) | 2023.05.02 |
클래식 음악 -관현악곡- 2) 교향곡 -1 (0) | 2023.05.01 |
클래식 음악 -관현악곡- 1) 협주곡 (0) | 2023.05.01 |
클래식 음악 -오페라- 6) 낭만주의 오페라 -2 (0) | 2023.04.30 |
댓글